>

Scientific Symposium 1

9/2(목), 09:00-10:30
Immunotherapy beyond anti-PD1/PDL1 antibody
PD-1/PD-L1 억제제를 포함한 면역관문 억제제의 등장은 암치료의 환경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면역관문 억제제의 탁월한 효과는 특정 암종의 일부 환자에게로 여전히 제한되고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다양한 면역조절 약물들의 최신 연구 진행 상황의 공유를 통해 현재 면역관문 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공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1. 1.Next-generation STING agonists that allow for IV administration
    James MOON (University of Michigan, USA)
  2. 2.Oncolytic virus immunotherapy: Future prospects for oncology
    Chan KIM (CHA Bundang Medical Center, Korea)
  3. 3.TIGIT including MoA, data in the clinical trial, and insight and experience
    Melissa L JOHNSON (Sarah Cannon Research Institute, USA)
  4. 4.RNA vaccines for cancer
    Jeffrey S. WEBER (NYU School of Medicine, USA)

Scientific Symposium 2

9/2(목), 09:00-10:30
Resistance mechanism of immunotherapy
최근 PD-1 억제제로 대표되는 면역관문억제제는 다양한 암종에서 표준치료가 되었다. primary 혹은 acquired resistance가 임상에서 많이 발생하고 이러한 약제 내성은 환자들의 치료 결과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세션에서는 면역항암제의 primary 혹은 acquired resistance에 대한 전체적으로 overview를 하고 현재 제시되고 있는 mechanisms of Resistance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진행되고 있는 많은 노력들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려는 전략을 알아보기로 한다.
  1. 1.Primary and acquired resistance to immunotherapy
    Se-Hoon LEE (Samsung Medical Center, Korea)
  2. 2.Mechanisms of immunotherapy resistance and potential combination strategies
    Ross Andrew SOO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3. 3.Window of opportunity trial with immune checkpoint blockade: A chance to resistance mechanism
    Hye Ryun KIM (Yonsei Cancer Center, Korea)
  4. 4.Overcoming acquired resistance in anti-PD-1 therapy by simultaneously depleting tumor and all major types of immunosuppressive cells
    Yong LU (Wake Forest School of Medicine, USA)

Scientific Symposium 3

9/2(목), 12:40-14:10
Clinical application of ctDNA profile
순환종양DNA(ctDNA)의 임상 적용 세션은 ctDNA 를 분석하는 시약, 기기, 검사의 질 관리 방법들에 대한 소개와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검사실 혹은 유전자 분석 기관의 분석 패널 및 현황에 대한 소개, 미국의 ctDNA 분석의 임상적 적용 현황을 주제로 발표들이 진행되어 최근 새로운 종양 유전자 분석 기법으로 도입되고 있는 ctDNA 분석과 임상 적용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1.Analysis of ctDNA
    Seung-Tae LEE (Yonsei University, Korea)
  2. 2.Introduction of circulating tumor DNA panels in Korea
    Sun-Young KONG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3. 3.Clinical impact of ctDNA results and perspective
    Sarat CHANDARLAPATY (MSKCC, USA)
  4. Discussion: Q&A

Scientific Symposium 4

9/2(목), 12:40-14:10
Targeting endocrine pathway: Breast & prostate
종양치료에서의 내분비요법은 가장 오래된 표적치료의 하나이고, 특히 유방암과 전립선암에서의 내분비요법은 여전히 가장 강력한 항종양치료 요법으로 사용된다. 더욱이 최근 내분비 내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약제나 새로운 타겟의 개발로 생존률 향상에 막강한 효과를 가져왔다. 본 세션에서는 유방암과 전립선암에서의 내분비요법의 발전을 리뷰하고, 향후 치료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될 것이다.
  1. 1.Progress and promise in personalized endocrine therapy in HR+ early breast cancer
    Yoon-Sim YAP (National Cancer Centre Singapore, Singapore)
  2. 2.Understanding the role of androgen receptor signaling in breast cancer
    Bora LIM (Baylor College of Medicine, USA)
  3. 3.Evolving practice in androgen-targeted therapy in prostate cancer
    Inkeun PARK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Korea)
  4. 4.Lightening the way forward: Metastatic castration resistant prostate cancer (mCRPC)
    Jae Lyun LEE (Asan Medical Center, Korea)

Scientific Symposium 5

9/2(목), 14:30-15:30
Recent advances in stomach cancer & GIST
전이성 위암에서 면역항암제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1차 치료요법에서도 새로운 FDA 적응증을 획득하였다.
Anti-HER2 표적치료에 있어서도 게임체인저라고 불릴 정도의 새로운 표적항암제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면역항암제와 anti-HER2 표적항암제의 병합 효과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위암에서 면역항암제와 anti-HER2 표적항암제의 최신지견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연제가 준비되어 있으며, 더불어 최근 4차요법 신약이 FDA 승인을 받은 GIST에 대한 흥미로운 연제도 함께 준비되어 있다. 
  1. 1.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of immunotherapy for gastric cancer
    Keun-Wook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Korea)
  2. 2.Evolution of anti-HER2 therapy for gastric cancer
    Kohei SHITARA (National Cancer Center Hospital East, Japan)
  3. 3.Promising new treatments in advanced GIST
    Hyo Song KIM (Yonsei University, Korea)

Scientific Symposium 6

9/2(목), 15:50-17:20
Recent advances in NSCLC & SCLC
폐암 분야의 최신 지견을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나누어서 다룰 예정이다. 비소세포폐암의 대표적인 항암 표적인 EGFR, ALK 유전자 변이는 표적치료제의 큰 발전을 주도하고 있고, 기존 약제와 새로운 약제들 간의 격전이 벌어지고 있다. 국제적으로 EGFR 표적치료제과 ALK 표적치료제 분야의 리더들에게 최신 지견과 함께 최선의 치료 전략을 전해 듣고자 한다. 소세포폐암은 수십년간 더딘 발전을 보이다가, 면역항암제가 도입되면서 비로서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소세포폐암을 새롭게 분류하는 시도 또한 앞으로의 도약을 위한 준비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독일을 대표하는 연구자들의 발표가 기대된다.
  1. 1.Frontline treatment strategy in advanced EGFR-mutant NSCLC
    Byoung Chul CHO (Yonsei Cancer Center, Korea)
  2. 2.The arena of TKIs: Optimal treatment sequence in ALK-positive advanced NSCLC
    Dong-Wan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3. 3.Biologic updates in SCLC: Molecular profiling and biomarkers
    Martin SEBASTIAN (University Hospital Frankfurt, Germany)
  4. 4.Evolving treatment paradigms for first-line extensive stage SCLC
    Niels REINMUTH (Asklepios Lung Clinic, Germany)

Scientific Symposium 7

9/3(금), 12:40-14:00
Recent advanc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Pancreas-Biliary Ca
그동안 약제 개발의 속도가 더디었던 간암, 담도암, 췌장암서도 최근 매우 고무적인 임상 연구 결과가 쏟아져나오고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각 암종의 신약 임상연구 선두 주자인 연자들을 통하여 간담췌암의 최신 지견에 대해서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1. 1.Emergence of immunotherapy in HCC: What's the future practice and next step for research?
    Ghassan ABOU-ALFA (MSKCC, USA)
  2. 2.Dawn of a new era for biliary tract cancer: Targeted and immunotherapy
    Do-Youn OH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3. 3.PARP inhibitors and novel therapies in advanced pancreatic cancer
    Teresa MACARULLA (University Hospital of Vall d’Hebron, Spain)

Scientific Symposium 8

9/3(금), 16:00-17:00
Infection and cancer: HBV, HIV, HPV, CMV etc
감염과 종양의 관계는 과거 활발히 연구되었으나 한동안 그 중요성이 간과되었다. 바야흐로 면역항암제 치료의 시대가 되며 감염과 종양의 관계는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이번 세션은 다양한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이 암, 종양 미세환경 및 면역항암치료에 미치는 영향 대한 전임상부터 최신 임상 연구 결과까지 두루 아우르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 된다.
  1. 1.Bacterial infections and human cancer
    Thomas F. MEYER (Max Planck Institute for Infection Biology, Germany)
  2. 2.Immune microenvironment in HBV-related HCC
    Valerie Chew Suk PENG (Translational Immunology Institute (TII), Singapore)
  3. 3.Screening for early cancers by liquid biopsy
    K.C. Allen CHAN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Scientific Symposium 9

9/3(금), 12:40-14:00
Expanding indications of PARP inhibitors
PARP 억제제는 BRCA1/2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에서 synthetic lethality의 개념으로 활용되는 것을 넘어서, 상동 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과 DNA 손상 반응에 결함을 가진 다양한 종양에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임상 적응증도 난소암, 유방암, 전립샘암, 췌장암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PARP 억제제가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종양의 특징을 살피고 PARP 억제제의 초기 개발과 현재 적응증, 향후 전망 및 내성 극복 방안들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1. 1.BRCA1/2 mutations, BRCAness, HRDness, and PARPness
    Kyung-Hun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2. 2.Breaking paradigms of cancer treatment with PARP inhibitors
    Mark J O'CONNOR (AstraZeneca, UK)
  3. 3.Clinical indications of PARP inhibitors in ovarian cancer
    Amit M. OZA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4. 4.Mechanism of resista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Timothy Anthony YAP (Th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USA)